날짜 : 2017. 11. 08. (수)
Nodejs Stream 잘못 이해했던 부분과 DB사용이유
생각하게 된 계기
- 책의 chapter3 부을 보면서 생각하게 된 내용.
-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과 별게로 화면에 보여주는 부분은 Node.js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 것 일까?
- 파일을 업로드 하는데 mongoDB를 사용하는 이유 무엇일까?
생각하게 된 점
업로드 된 파일을 보여주는 것은 HTML코드의 역할.
업로드된 파일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면 업로드된 모든 파일이 보여지는 상황 연출.
-
HTML "image" "video" 태그 사용
- node.js에서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.
- 파일을 업로드, DB에 파일정보 저장하는 것으로 node.js역할은 끝.
- "src" attribute 값에 업로드된 파일명을 입력하여서 화면에 나타내면 성공.
-
DB에 저장을 하는 이유 (DB에 저장을 안 한다면)
- 1개만 가져오는 경우, 정확한 파일명을 가져와야 하는데 구별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.
- 모든 정보를 가져오면, 내가 업로드 하지 않거나 필터링 되지 않은 파일들도 화면에 나타난다.
- 즉, 가입자별 업로드된 파일을 가져오고 싶은 경우 (다른 경우라도) 외부에 구별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만 선별하여 가져올 수 있다.
앞으로 생각하게 된 의문
- DB서버에 스트레스 테스트 및 한계 성능을 알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되는 것일까?
'개발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ugglingdb, 도전, 피드백, 성공적, 실패 (0) | 2017.11.14 |
---|---|
Node.js export 사용패턴 및 require 사용 (0) | 2017.11.13 |
Nodejs Stream 그뤠잇 (0) | 2017.11.07 |
책이 항상 옳은 것이 아니구나 ... (0) | 2017.11.06 |
ODM ORM이란게 이런거구나 (0) | 2017.11.01 |